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전기차 배터리 폭발 사고는 피해 규모가 더 큽니다. <br> <br>불이 나면 삽시간에 번지고, 물을 퍼부어도 좀 처럼 꺼지지 않습니다. <br> <br>다시간다 남영주 기자입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고속도로 요금소 앞, 차에서 불길이 치솟습니다. <br> <br>소방관들이 물을 뿌려도, 연기가 쉴새 없이 뿜어져 나옵니다. <br> <br>[최초 목격자] <br>"너무 밝구나 생각하고 앞에 가니까 차가 불에 타고 있는 거예요. 보닛이 시꺼멓게 완전 다 탈 정도로." <br> <br>부산의 고속도로를 달리던 아이오닉 전기차가 요금소 충격흡수대를 들이받은 건 지난 4일. <br> <br>사고 직후 불이 붙었고 운전자와 동승자 모두 숨졌습니다. <br> <br>전기차 사고가 난 고속도로 톨게이트에 나와 있습니다. <br> <br>사고가 난지 열흘 넘게 지났지만 까맣게 그을린 충격흡수대에는 당시의 화재 흔적이 고스란히 남아있습니다.<br> <br>차량 뼈대만 남을 때까지 타고서도 배터리 열은 식지 않았고, 2차 발화를 막기 위해 이동식 수조까지 동원됐습니다. <br> <br>화재 진압에도 7시간이나 걸렸습니다. <br> <br>[한정도 부산강서소방서 화재조사관] <br>"전기가 계속 공급되는 상태였고, 연기가 지속적으로 발생했기 때문에 이동식 수조를 설치해서…." <br> <br>테슬라 전기차에서 뿌연 연기가 올라옵니다. <br> <br>보통 엔진룸에서 불길이 치솟는 내연기관 차량과는 달리, 연기가 나는 곳은 시트 바닥입니다. <br> <br>갑자기 불이 번쩍이더니 옆에 있던 오토바이로 옮겨 붙습니다. <br> <br>[화재 전기차 운전자] <br>"1분만 늦었어도 '내가 저 안에서 죽었을 수도 있겠다'라는 생각에 차 운전도 못하고. 고속도로에 있었다거나 차를 세울 수 없는 상황이었으면 나도 죽지 않았을까." <br> <br>경찰과 소방이 조사했지만, 결과는 '원인 불명'이었습니다. <br><br>전기차 불을 끄기 어려운 건 배터리 열폭주 현상 때문입니다. <br> <br>차량 바닥의 배터리팩이 충격으로 손상되면, 온도가 순식간에 800도까지 치솟으며 연쇄 폭발하듯 불이 번집니다.<br> <br>배터리 열은 계속해서 끓어오르기 때문에 불을 끄는 시간도 길어지는 겁니다.<br> <br>지난 16일 소방당국의 실험 현장. <br> <br>전기차 화재 진압에 쓰인 물은 5천 리터가 넘었습니다. <br> <br>외부 불을 끄는데 1천 리터, 배터리 팩을 식히는데 4천 리터를 쏟아 부었습니다.<br><br>그래도 배터리 열은 완전히 식지 않았습니다. <br> <br>소방펌프차 용량이 보통 3천 리터인 걸 고려하면, 최소 2대 이상 투입돼야 불을 끌 수 있는 겁니다<br> <br>자동차 업계도 이런 상황을 모르는 건 아닙니다. <br> <br>[이호근 대덕대 자동차학과 교수] <br>"지금의 배터리는 액체형이기 때문에 화재에 취약하고요. (고체형은)공기 중에 노출돼도 화재 위험성이 전혀 없기 때문에 전고체배터리 소재 쪽으로 기술개발이 이뤄져 (갑니다.)" <br><br>2017년부터 지난달까지 발생한 전기차 화재는 59건. <br> <br>매년 증가하고 있습니다.<br> <br>전기차는 자동차시장의 대세로 자리잡고 있지만, 안전 인프라는 취약합니다. <br> <br>2차 발화를 막기 위한 이동식 수조는 부산, 세종, 경기에만 있고 서울에는 아예 없습니다. <br> <br>소방당국은 현재 14개인 수조를 연말까지 추가할 계획이지만, 전기차 화재에 대한 불안은 쉽게 사그라들지 않고 있습니다. <br> <br>다시간다 남영주입니다. <br><br>PD : 윤순용 권용석<br /><br /><br />남영주 기자 dragonball@donga.com